"원더 윅스 (Wonder Weeks) 인가?"


다시 말하자면 "애들 보채면 우리나라 엄마들이 하는 말"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정작 소아과 의사들은 잘 모르고 학계에서도 거의 쓰이지 않는 용어지만 엄마들은 쓴다. 뭔가 싶어서 찾아봤다. 아이들이 특정 기간마다 크게 발달하면서 힘들어하는 시기가 있단다.


아이 엄마들은 너무도 당연시 하기에 정말 그런게 있는지 궁금해서 찾아봤다. 해외 육아 사이트들에서도 그런 말들을 썼다. 네덜란드의 한 부부 연구자가 책으로 주장했고, 우리나라에 번역본까지 출판되어 잘나간단다. 그런데 내가 내린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사실 정말 그런 시기가 존재하는지는 모르겠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이걸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이유는 많지만, 크게 첫번째로 앞서 말했듯 이를 인정하는 소아과 전문가, 영유아 발달 전문가들, 연구페이퍼들을 직접 보지 못했다. 그리고 두번째로 이런 주장이 전 세계에 출판되고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상황을 이른바 "육아 조언 사업 (the baby advice industry)"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크게 느꼈다.


아래는 2018년 올해 초 영국 가디언지에 실린 기사의 일부이다. "육아 조언 산업의 사악한 천재성 (The diabolical genius of the baby advice industry)"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Other authors promise to eliminate the uncertainty inherent in the situation by making inexcusably specific claims about how things will unfold. The Wonder Weeks, a popular book by the Dutch husband-and-wife child development experts Frans Plooij and Hetty van de Rijt, insists upon the existence of 10 predictable “magic leaps forward” in your baby’s neurological development, heralded in each case by bouts of fussiness, raising the prospect that you might be able to tick them off like milestones in a home-renovation project. For example: at 46 weeks old, the authors declare, you can expect your baby to start to understand sequences, such as the steps involved in fitting one object into another. (Typically for the genre, The Wonder Weeks tries to reassure readers these stages will unfold naturally, while strongly hinting there are specific things parents must do to make them go well.) But it’s not wholly astonishing to learn, from Dutch press reports, that when one of Plooij’s PhD students sought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se leaps, she found none, and Plooij tried to block the publication of her results, triggering a controversy that saw him dismissed from his university post.


웃긴 일이다.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네덜란드 부부 연구자가 원더 윅스라는 개념을 주장했고, 하지만 이들의 박사과정 학생의 후속 연구에서 원더 윅스에 대한 근거를 찾지 못했으며, 이 개념을 처음 주장한 연구자는 이 학생의 연구가 저널에 퍼블리시 되는것을 막으려 하다 대학에서 맡은 직책에서 해고당했다는 내용이다.


백번 양보해서 원더 윅스라는 개념이 논쟁적인 주장이라 하더라도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한 일은 연구자의 의도를 여러가지로 의심할 수 밖에 없다. 연구자의 책이 우리나라를 비롯, 전 세계에서 인세를 거둬들이고 있는 현 상황에서 말이다.


나는 원더 윅스 타령 하기보다 아래의 말을 더 따르기로 했다.


Before deciding that the reason your child is fussy due to a 'wonder week',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ther your child may be unwell. If a child has a fever, nappy rash or an ear infection, for example, the child will be more distressed than usual.


"아이가 불편해하면 원더 윅스 탓 하지 말고 정말 어디 아프거나 불편한 곳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호주 모유수유 협회(Australian Breastfeeding Association)의 설명이다. 


*(2021년 1월 이후 호주 모유수유 협회는 원더윅스라는 단어를 모든 웹페이지에서 삭제함. 수정된 페이지는 이곳에서 확인 가능.)

,